안녕하세요, 알콩달콩 열공부부입니다.
오늘은 2022년에 취득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소개하고 어떻게 자격증을 취득 절차와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위와 같이 필기 80점 (합격 기준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72점 (합격 기준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으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취득에 성공하였습니다.
정보처리기사 2022년 필기 2회, 실기 3회 합격률을 보면 필기는 50%, 실기는 20% 였습니다. 실기는 필기를 통과해야 시험을 볼 수 있는데 100명이 시험을 보면 필기는 50%인 50명, 필기 합격한 50명 중 20%인 10명정도가 최종 합격이 가능해서 최종 합격률이 10% 정도 였습니다. 이전에는 합격률이 그래도 꽤 괜찮은 편이었는데 2020년 이후에는 시험이 어려워져서 합격이 어려운 시험이 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변별력이 있는 자격증이 된 것 같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간단한 프로그래밍을 할 줄 알고,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도 다룰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홈페이지 https://www.q-net.or.kr/ 에서 정보처리기사를 검색하면 어떤 시험인지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개요를 살펴보면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만들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되어있습니다. 실제로 공부해보면 소프트웨어에 관한 다양한 내용들이 있는데 사실 실제 개발자가 아니면 이해하기 좀 어려운 부분이 있고, 개론 같은 느낌입니다. 오히려 프로그래밍 (C언어, JAVA, Python) 이나 데이터베이스 정보 처리를 위한 SQL 문법 등을 배울 수 있는 것이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자격증 우대사항으로 소프트웨어 정부 과제를 할때 정보처리자격증을 취득한 개발자를 확인한다는 이야기도 있고, 공무원 등의 시험에서 가산점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한 번 취득하면 유효기간이 없는 자격증이니 IT 시대에 취득해놓으면 도움이 되는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자격증을 취득한다고 뛰어난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되는 것은 아니고, 이제 시작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다 정도의 실력을 만들 수 있게됩니다.
시험을 보기 전에 먼저 확인해야하는 사항은 시험 정보처리기사 응시 조건입니다. 열심히 시험을 준비를 했는데 자격을 취득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잘 확인하시고 준비를 시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학교 졸업을 하는 4학년 1학기 이후에는 시험 응시가 가능하다고 하는데, 네이버 수제비 카페 (https://cafe.naver.com/soojebi) 에 가보면 자세한 내용들이 있으니 꼭 들어가서 시험 정보를 확인하신 후 시험 준비를 하시면 좋겠습니다. 수제비 카페에는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관련해서 많은 정보들이 있으니 시험 준비 전부터 응시 후 까지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응시자격이 되시면 시험일정을 살펴보셔야 합니다. 시험은 1년에 보통 3회 치뤄지며, 2023년 정기 기사 2회 시험 기준으로 필기시험 원서접수는 4월 17일부터 20일까지이고, 필기시험은 5월 13일부터 6월 4일 까지로 되어있는데 정보처리기사 시험 이외의 모든 국가 기사 시험의 시험기간을 표시해 주는 것이라 필기시험은 첫날인 5월 13일 토요일입니다.
제가 시험볼 때까지만 해도 위와 같이 시험지를 주고 OMR 카드를 마킹하는 방식으로 시험을 치뤘고, 시험이 끝나면 시험지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해주었는데 최근에는 필기시험도 컴퓨터로 보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하니 잘 살펴보시고 시험장에 가시면 좋겠습니다. 시험장은 전국 곳곳에 있어서 시험을 보는 데 어려움은 크게 없었습니다.
저는 이공계 대학을 졸업해서 프로그래밍과 SQL 수업 등을 듣고 필기 시험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필기 시험공부는 수제비 필기 교재 3회독, 수제비 홈페이지 기출문제와 Daily 문제를 보았습니다. 저는 직장인이라 대략 2달 정도 공부 했던 것 같습니다. 교재도 중요하지만 기출문제와 Daily 문제는 꼭 보시고 시험장에 들어가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필기시험에 합격을 하면 한국산업인력공단에 응시자격 제출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필기 시험 전 후 제출이 가능했던 것 같습니다.) 인터넷으로 제출이 가능한 대학도 있지만 저는 불가능해서 대학 졸업 증명서를 가지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 가서 직접 제출했습니다. 2022년 기사 필기 2회 시험이 4월 24일이었는데 승인일이 4월 28일인 것을 보니 필기 시험 후에 제출했었습니다. 제출기간은 한 달 가량으로 꽤 길었지만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제출이 불가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필기 시험은 시험 당일 오후에 답안이 나와 가채점이 가능합니다. 저는 합격을 예상했기에 바로 실기 시험준비를 했습니다. 기사 2회 시험까지 2달 정도의 시간이 있었는데 이 기간 동안 필기와 동일하게 실기 문제집 3회독을 하고, 이전 기출문제를 보니 그냥 실기 문제집만으로는 부족한 점이 많았습니다. 또한 시험 며칠 전에 코로나에 걸려서 시험 취소가 가능했는데 지금와서 보면 전화 위복인 것 같습니다. 어쨋든 그렇게 되어 10월 16일에 3회 시험 준비로 실기 파이널 실전모의고사 책을 3회독 하고, 기출문제와 Daily 문제 확인하고 시험을 보고 필기 시험 후 거의 6개월 만에 합격을 하게 되었습니다. 실기 시험은 시험문제가 모두 주관식으로 나오고, 시험문제지에 검은색 펜으로 작성해서 제출하는 방식으로 시험을 보았습니다. 부분 점수도 주어지기도 하는데 정확히 어떤 문제가 맞고 틀렸는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그래도 8개월에 걸친 시험에서 필기, 실기 한 번에 합격하게 되어 매우 기뻤습니다. 여러분들도 제 후기를 잘 참고하셔서 자격증 취득 성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오늘도 열공!
'열공부부의 경제노트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회화 시험 오픽 IH 취득 후기 (0) | 2021.11.14 |
---|---|
중국어회화 TSC 3급 취득 후기 (1) | 2021.11.07 |
댓글